사업공고

더보기

팝업존

popup popup

전문가 목록

정성범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 IP-R&D 컨설팅, 기술가치평가, 특허침해(FTO)분석 등

강동운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특허 및 법률

김선정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임상, 인허가의 기술부문

강선준 전문 분야 연구계 세부 분야 창업, 기술이전, 연구계약, 연구보안, 연구관리

김용덕 변리사(아이피렉스 특허법률사무소)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 상표, 디자인, 기술특례상장

진종언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R&D, 기술사업화, 컨설팅

이종현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바이오 헬스케어 빅데이터 AI 창업초기

정강식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

김현진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특허, 기술사업화, R&D, 기술가치평가

송동호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임상,인허가)

신대근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소재 전임상, 임상

유준일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정형외과 임상, 인허가, 기술 컨설팅

이지현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임상, 인허가, 투자, 사업화, 마케팅

김재현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기술성숙도에 따른 의약 및 바이오 마케팅 전략, 전략적 사업계획서 및 IR 작성, 신용 기반의 정책 자금 조달, 창업 팀(조직) 관리, 사업타당성 분석, 기술사업화

김우겸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바이오벤처기업 투자(신약, 의료기기, 플랫폼)

기영호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 Global IT회사 기술, 영업 총괄 경험을 토대로 비즈니스 전략수립, 조직구성 및 관리, 성장로드맵, 시장진입 및 마케팅전략 수립 - 2019년부터 KD인베스트먼트의 고문직 역할로 투자대상기업 기술검토 및 시드투자 대상 멘토링 업무를 현재 수행 중에 있음. - 현재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전문평가위원으로 소속 활동 중에 있음

김성진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경영전략, 마케팅.판로개척, 인사.조직관리, 투자유치

한광현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특허

유강욱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사업개발(BD), 투자

구성민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사업화, 임상실험

장우영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 법률

안정환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

구현서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 법률, 기술사업화, 기술이전

안지웅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 법률

정재호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창업 / 투자 / 액셀러레이터 / IR

강성현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경영 및 투자, IR자료, 사업계획서, 기업가치 평가

류홍철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법률

이동훈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디지털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기술사업화

구태훈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 및 해외진출

김지현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비즈니스 모델링, 투자유치

김동욱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임상·인허가, 특허

정영균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벤처투자기관(엑셀러레이터) 및 기술사업화 지원 등

성장훈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의료기기 인허

김형규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특허, 법률 및 기술가치평가, 기술컨설팅

김태연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기술사업화, 인허가, 임상

조명광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의료기기 인허가, 행정규제, 행정처분

차재빈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시장조사, 마케팅조사, 사업타당성분석, 신규사업개발 등

김성우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바이오 비상장기업 기술특례상장, 엑셀러레이터, 기술이전

김형태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R&D, 창업, 멘토링

정용준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기술사업화, 기술창업, 특허, 기술이전

정유낙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

김대진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액셀러레이터), 경영, 마케팅(글로벌)

박옥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법률

오상훈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기술사업화 기획 및 스타트업 기술경영

정성민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정부지원사업, 시장성, 사업성 검토

주한중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

강경윤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인허가 컨설팅, 미국 FDA 인허가, 유럽 MDR CE인증, ISO 13485컨설팅 CRO 임상시험관리

박주연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

최상휘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 (pre-A, Series A 단계의 창업초기기업)

서주연 전문 분야 연구계 세부 분야 디지털치료제 및 헬스케어 제품의 인허가를 위한 임상시험, 제약회사 및 국책과제 임상시험 관련 전반적인 절차 진행

양용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법률, 임상, 기술사업화(신약, 제형, Repositioning 약물, 유기합성, 바이오의약, 제네릭 의약품 관련)

최자영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화학바이오)/ 상표디자인

황미경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마케팅, 교육사업, 보건서비스등

손미경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 및 투자유치 컨설팅

문진영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임상의학

서영준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임상, 이비인후과, 의학

조민근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비지니스개발, 마케팅, 기술사업화

이보근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 특허, 기술사업화

옥은철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 정부지원금, 사업계획서, IR자료

이성영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의료정보/유전체/빅데이터/컴퓨팅/데이터사이언스

김기정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표준개발 협력 및 인증

서민준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화장품의 개발 및 인허가, 비임상, 임상 등

오승윤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벤처투자심사역

유진상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연구계 10.5 년, 산업현장에서 바이오신약 R&D 11년, 메커니즘 연구, 비임상 유효성, 독성, CMC, 임상등 신약개발 전 주기에 대한 이해가 있음

이재혁 전문 분야 연구계 세부 분야 바이오센서 연구개발

박디도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유치

홍인선 전문 분야 학계 세부 분야 ○ 다양한 줄기세포 기반 재생의료 분야 ○ 천연고분자물질 기반 인공 조직 개발 분야 ○ 다양한 암의 신약후보약물 개발 분야 ○ 바이오칩 (organ on a chip) 기반 대체 시험법 개발 분야

강신일 전문 분야 연구계 세부 분야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및 서비스 개발

김현수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특허 등 지적재산권 자문(국내외 출원, 법률자문, 소송)

김선미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의료기기 인허가

김준모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글로벌 사업화, 투자유치, PoC

홍성우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신약 의료기기 헬스케어 연구 개발 투자 사업협력

정승교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지털치료체, 의료SW 분야 특허·법률, 기술사업화

홍종국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바이오 스타트업 투자

박재근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특허·법률, 기술사업화, 벤처기업확인, 기술가치평가, 기술이전

김지철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바이오 벤처투자

김해란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Venture Capital 투자

정충호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기술사업화, 제조기술 (GMP 구축 및 운영), 의료기기 제조업 전문 PM 육성 콘덴츠 개발 및 보급

김영호 전문 분야 시장전문가 세부 분야 투자유치 (신약)

엄재민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법률

김태관 전문 분야 기타 기술 및 경영분야 전문가 세부 분야 세무 상담, 법인세, 소득세, 부가세

서화석 전문 분야 산업계 세부 분야 Market access 및 사업화

소식

[BIO KOREA 2023] Conference 세션 공모 모집 안내 BIO KOREA 2023 International Convention 컨퍼런스 프로그램 공모 안내     BIO KOREA 2023에서 바이오헬스산업의 새로운 미래 기술 및 전략에 관한 혁신적인 주제의 컨퍼런스 프로그램을 공모합니다. 대한민국 바이오헬스산업을 대표하는 국제 컨벤션으로 자리 잡은 BIO KOREA가 더욱 다양하고 전문적인 기술·정보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관계자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행사개요 행 사 명: BIO KOREA 2023 International Convention 기 간: 2023. 5. 10.(수) ~ 5. 12.(금), 3일간 장 소: 서울 코엑스 주 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충청북도 주 관: BIO KOREA 사무국 프로그램: 컨퍼런스, 비즈니스 파트너링, 전시, 인베스트페어 2. 공모 주제(분야) ① AI & Digital Health ⑥ Precision Medicine ② Regenerative Medicine ⑦ Infectious Disease & Immunology ③ Cell/Gene Therapy ⑧ Chronic Disease ④ Advancing Regulatory Science ⑨ Technology Business ⑤ Oncology ⑩ IP & Finance ※ 이 외 바이오헬스 기술 및 산업 관련 주제로 자유롭게 제안 가능 (자유주제 예시) Diagnostics, Clinical Study, Investment, Neurology, Pharmaceuticals, AMR(Antimicrobial resistance), Biosimilar, Orphan and Rare Disease, Patient Advocacy, Highly Prevalent Chronic Disease, Real World Data, 3D Printing, Organoid, Microbiome, Bio Manufacturing, Companion Diagnostics, Medical Devices, Regional Market Strategy, Bio Informatics, CNS, etc. 제안 유의사항 학술적인 내용은 지양하고, 바이오헬스 기술 사업화 및 제품화 등 산업체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 바이오헬스산업체에 미래 비즈니스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신 기술 및 산업 동향 등 이슈화된 바이오헬스 기술 소개 산업의 발전과 성장을 목표로 하는 한국의 기술, 규제, 시장, 환경 소개 등 기업활동을 촉진하는 내용(성공적 사례) 기타 기술 사업화 추진을 목표로 진행중인 사업 관련 등 3. 응모대상: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및 관계자 제약·바이오·의료기기 기업체, 대학, 출연 연구기관, 정부기관 R&D 연구책임자 및 연구자 협의회, 연구회 등 제약·바이오 관련 학술단체, 관련협회 및 전문가 등 로펌, 컨설팅 기관, CRO 등 비즈니스 관련 업체 4. 선정 시 지원사항 BIO KOREA 2023 컨퍼런스 세션 코디네이터로 참여(소정의 코디료 지급) 프로그램 참여 연사 대상 공식 초청장 발행 및 연사 관리 지원 프로그램 선정 후 코디네이터는 프로그램 참여 연사 섭외 연사 대상 소정의 연사료 지급(BIO KOREA 사무국 규정에 따름) 5. 신청접수 및 제출방법 접수기간: 2023년 1월 9일(월) ~ 23년 1월 26일(목), 14:00 까지 작성양식: 첨부파일 참조(BIO KOREA 2023 컨퍼런스 프로그램 신청서) 접수방법: biokoreaconference@gmail.com으로 제출 문 의 : 배홍희 연구원(​02-2095-1747) 2023.01.10
더보기
보건신기술(NET), 바이오코리아 2023에서 만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코리아 2023에서 30개 보건산업분야 신기술 홍보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오는 5월 10일(수) 부터 12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바이오코리아 2023(BIO KOREA 2023) 보건신기술(NET) 인증홍보관을 통해 보건산업 분야에서 우수성이 입증된 보건신기술(NET)을 전시·홍보한다고 밝혔다. ※ 보건신기술(NET: New Excellent Technology) 국내 최초 개발된 보건 분야 신기술을 조기 발굴하고 우수성을 인증하여 기술의 제품화ㆍ상업화, 기술거래 촉진 및 초기 시장진출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보건의료기술 진흥법에 의해 실시되는 인증제도   ○ 보건신기술(NET) 인증 홍보관에서는 총 28개사, 30개의 보건신기술(NET)이 소개되며, 이 중 8개 기업은 특별홍보관으로 참여하여 인증기술 이외에도 우수한 자사제품 등을 전시 및 홍보 할 예정이다. ○ 특별홍보관에서는 ▲㈜미래셀바이오의 ‘만능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줄기세포 분리·분화 기술’ ▲㈜빅바이오의 ‘특이적 바이오마커(MARS1) 항체를 활용한 암진단 기술 및 조직(세포)용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조기술’ ▲㈜셀투인의 ‘글루타치온 형광탐지자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내 글루타치온 농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 ▲㈜엘메카의 ‘중증환자의 자동 객담 흡인 기술’ ▲㈜진우바이오의 ‘고형화 히알루론산 제조기술’ ▲㈜플라즈맵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소재에 대한 불순물 침착 저해기술’ ▲㈜가이아농업회사법인의 ‘저염복합조미료 제조기술’ ▲㈜아모레퍼시픽의 ‘화장품 소재로의 동백 Bioflavonoids 개발 기술’ 등 유망 신기술 및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 진흥원 관계자는 “보건산업의 대표적인 교류의 장인 바이오코리아 2023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된 우수한 보건신기술(NET)을 전세계 바이오 관계자들에게 소개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신기술 적용제품의 국내·외 실사용자인 의사 및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문의 : 진흥원 기술평가컨설팅팀 이강호 연구원 ☎ (043) 713 - 8596 2023.05.04
바이오코리아 2023 컨퍼런스, 바이오헬스 산업 신성장 혁신기술들을 한눈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차세대 임상시험, AI 신약개발 등  11개 주제 21개 세션 진행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과 충청북도(지사 김영환)가 공동 개최하는 바이오코리아 2023(BIO KOREA 2023)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의 최신 트렌드에 맞는 혁신기술들을 소개하는 컨퍼런스가 진행된다. ○ 팬데믹 이후 바이오헬스 산업 분야는 경제성장 및 국민 건강 보호의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아졌으며, 디지털 혁신 및 융복합기술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의 변화는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 되고 있다. ○ 이런 변화와 함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이라는 정부기조에 맞춰 BIO KOREA 2023에서는“초연결시대, 신성장 혁신기술로의 도약”을 주제로 바이오헬스 산업의 최신기술 동향과 비전을 컨퍼런스를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공유한다. BIO KOREA 2023 International Convention 초연결 시대, 신성장 혁신기술로의 도약(Connected era, Leaping towards Next Level)   - 일 시: 2023년 5월 10일(수) ~ 12일(금) - 장 소: 서울 COEX, www.biokorea.org - 프로그램: 컨퍼런스, 비즈니스 파트너링, 전시, 인베스트페어 □ 컨퍼런스는 재생의료, 백신, 유전자 치료제 등 11개 주제 21개 세션으로 진행되며, 13개국 약 120여 명의 바이오헬스분야 전문 석·박사 연사가 참여하여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최신 이슈 및 기술비즈니스 동향을 공유하는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 첫째날 10일(수)에는 특별 세션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비롯하여, 유전자치료제, CDMO(Contr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Organization), 헬스케어 빅데이터 세션이 진행된다. -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 세션에서는 국내 선도 의료 클라우드 기업인 네이버 클라우드의 류재준 총괄이사의 발표를 시작으로 다수의 국내·외 연사와 함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산업현황 및 투자동향, 성공사례를 공유한다. - 차세대 신약으로 각광 받고 있는 ‘유전자 치료제’세션에서는 글로벌 기업의 성공사례를 통해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전략을 모색하며, ‘CDMO’ 세션에서는 빅파마들의 R&D 아웃소싱 활용사례 및 전략을 공유한다. - 10일(수)~11일(금) 양일간에 걸쳐 진행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세션에서는 헬스케어 빅데이터의 디지털화 및 생산·분석 발전에 따라 조성되고 있는 정밀의료 서비스 지원체계 현황과 관련 정책 및 정부 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데이터 활성화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 두 번째 날인 11일(목)에는 ‘임상시험의 뉴노멀’이라는 주제로 특별세션이 진행되며, 백신, 재생의료, 인공지능 신약개발,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주제로 하여 최신 연구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 글로벌 임상시험 트렌드의 변화에 주목하여, 특별연사인 글로벌 1위 신약개발 임상서비스 기업 IQVIA의 신시아 버스트(Cynthia Verst) 박사의 발표를 시작으로 분산형 임상시험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임상시험의 트렌드를 공유하고 차세대 임상시험의 국내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살펴본다. - 백신 및 재생의료 세션에서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수행하는 사업단* 및 유관기관**, 연구자가 다수 참여하여 연구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산업계의 활용전략 및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한다. *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신변종감염병 mRNA백신사업단,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등 ** 재생의료진흥재단,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 등 - 인공지능 신약개발 세션에서는 기초연구에서 전임상까지 활용되는 AI 기반 신약개발의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AI 연구물의 사업화 현황 및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특허 전략을 소개한다. ○ 마지막날인 12일(금)에는 ‘블록버스터 특허만료’세션과 ‘ADC(Antibody Drug Conjugate)’, ‘융합기술 의료기기’세션이 진행된다. - ‘블록버스터 특허 만료’ 세션에서는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현황 및 특허소송 판례를 소개하고, 특허 존속기간 만료에 따른 오리지널 의약품 및 후발 의약품 대응 전략을 논한다. - 블록버스터 ADC 약물 개발을 위한 한국의 새로운 접근법을 주제로 하여, ‘ADC’ 세션에서는 정부, 산업계 및 학계의 ADC 연구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국내의 성공적인 ADC 개발 전략을 모색한다. - ‘융합기술 의료기기’세션에서는 신개념 의료기기인 마이크로나노로봇의 최신 동향과 함께 각 질환별 기술개발 및 상용화에 대하여 논한다. □ 바이오코리아 2023에서는 이외에도 부대세션, 비즈니스 파트너링, 전시, 인베스트 페어 등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들이 진행될 예정이며, 참가 신청 및 자세한 내용은 바이오코리아 2023 홈페이지(www.biokorea.org)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문의: 진흥원 산업진흥기획팀 김주연 연구원 ☎ (02)2095-1743 ※ 참가 신청 문의: 바이오 코리아 사무국 ☎ 1661-0810(O!BIO) 2023.04.2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2년 제5회 K-BIC STAR DAY 개최 10월 27일(목) 오후 3시, 온라인 투자유치 기술설명회 “바이오헬스 분야 관련기술 보유기업 5개社 참여”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은 오는 10월 27일(목) 오후 3시부터「2022년 제5회 K-BIC STAR DAY」온라인 투자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2년 제5회 K-BIC* STAR DAY> 일시 : 10월 27일(목) 오후 3시∼ 방식 : 온라인 투자유치 설명회(유튜브생중계: www.youtube.com/kbicstartup) 주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K-BIC :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Korea - Biohealth Innovation Start-Up Center)   ○ K-BIC STAR DAY는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에서 18년도부터 진행된 보건산업에 특화된 투자설명회로 지금까지 총 141개 창업기업이 참여하였으며, 본 행사를 통하여 기술 소개 및 투자자 등과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졌다.   ○ 이번 기술설명회에는 ▲(주)로완 ‘디지털 치매예방 프로그램 「슈퍼브레인」’ ▲(주)뉴코애드윈드 ‘ICT 기반 의약품 배달 COLD CHAIN BOX 시스템’ ▲(주)더도니 ‘’휴대용 혈중 칼륨 측정기「Gnosis-K」 ▲(주)빌릭스 ‘아토피 치료제 약물전달시스템’ ▲시너지에이아이(주) ‘병원 주도 비대면진료 플랫폼「토닥토닥」 ’이 소개된다. ○ 이들 5개 창업기업은 투자 전문가의 멘토링를 거쳐 투자역량진단, IR피칭 컨설팅 등 투자유치 역량을 강화하여 IR에 참여하며, 발표 후에는 임상의사 등이 전문가 입장에서 보완사항을 제안하여, 기술적인 개선사항과 비즈니스모델에 대해 자문할 계획이다.   □ 본 행사는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유튜브 (https://bit.ly/3gHMUIY)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다.   ○ 진흥원 산업진흥본부 보건산업육성단 이철행 단장은 “K-BIC STAR DAY”를 통하여 우수한 창업기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진흥원과 창업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 문의 : 보건산업육성단 기술평가컨설팅팀 강소라 연구원 ☎(043)713-8591, srkang1508@or.kr 2022.10.2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2회 당뇨분야 연구지원 과제 공모 당뇨병 관리와 치료 관련 임상 및 기초연구 주제로 모집 (~9월 26일까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은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사장 김상표, 이하 AZ)와 함께 2차년도 국내 당뇨 연구지원 과제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KHIDI-AZ 당뇨병 연구지원 프로그램’은 지난 2019년 12월 진흥원과 한국아스트라제네카를 포함, 4개 기관(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협회)이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위한 협력을 목적으로 체결한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지난해 시작되어 올해 2차 년도를 맞이했다. □ 이 프로그램은 국내 우수한 연구진의 당뇨병 분야 연구개발 역량 향상과 연구 활동 독려는 물론 나아가 당뇨병 및 내분비 대사질환 환자들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공모 주제는 ▲당뇨병 치료 ▲당뇨병 예방 및 관리 ▲당뇨 합병증 예방 ▲합병증 조절 등을 위한 약제 및 치료법에 대한 임상 및 기초연구 등이다.  □ 진흥원 관계자는 “이 프로그램은 기초연구부터 실제 진료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구까지 포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의 핵심인 R&D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며, “작년에도 우수한 연구진을 발굴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낸 만큼 올해도 우수한 연구 역량을 가진 국내 연구진의 성장과 발전을 돕는 또 하나의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신청기간은 8월 30일부터 9월 26일까지이며, 자세한 사항은 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정보 확인 후 지원하면 된다. ※ 문의: 진흥원 산업진흥기획팀 송하연 연구원 ☎(02)2095-1728 2022.08.31
바이오헬스 산업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K-바이오헬스 전략센터」 개소 8월 26일[금], 서울 중구 연세봉래빌딩 3층에 K-바이오헬스 전략센터 개소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은 보건산업 분야의 혁신 주체 간 상생협력을 촉진하고 바이오헬스 산업 생태계 조성의 전진기지 역할을 담당할‘K-바이오헬스 전략센터’를 8.26.(금) 개소한다고 밝혔다.   □ 이번에 개소하는 ‘K-바이오헬스 전략센터’는 지역의 바이오 클러스터와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수도권에 집중된 다양한 자원과 정보를 지역에 공급하고 병원, 임상기관 등 보건의료분야 혁신 주체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혁신 창업과 기술사업화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계획이다.    ◦ K-바이오헬스 전략센터는 6개 지역에 설치한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와 연계를 통해 개방형실험실 병원**, 사업화 전문기관과 지역센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을 정례적으로 마련하여 협력회의를 운영할 예정이다.     * 강원(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경남(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경기(분당서울대학교병원), 광주(조선대학교), 대전(대전테크노파크), 인천(인천테크노파크)     ** 경남(경상국립대학교병원), 서울(고려대학교구로병원, 이화의대부속목동병원), 경기(동국대학교일산병원, 아주대학교병원), 부산(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전남(전남대학교병원)    ◦ 또한 지역 소재 창업기업이 겪는 자금조달이나 기술개발, 판로개척 등의 문제에 대하여 해당 분야 전문가 멘토링을 지원하고 의료인과의 만남을 통해 서비스나 제품 상용화 전략 등에 있어 조언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계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 협력그룹을 운영하여 유기적 협력모델을 지속적으로 만들고 확산하여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 및 제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금번 개소하는 ‘K-바이오헬스 전략센터’는 서울역 인근에 위치하여 지리적 접근성이 우수하고 병원, 사업화 지원기관 등이 인근에 자리잡고 있어 소통과 협업의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K-바이오헬스 전략센터는 연세봉래빌딩 3층에 위치하여 회의, 온・오프라인 미팅 등이 가능한 회의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전담인력이 상시 배치되어 수도권과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역할을 추진하며,    ◦ 현재 보건산업분야 창업지원 업무를 전담하는‘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의료기기분야 사업화 지원기관인‘의료기기종합지원센터’등과 인접하여 상호 협력을 통한 창업과 기술사업화 지원을 위한 시너지가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 진흥원 이철행 보건산업육성단장은 “K-바이오헬스 전략센터가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에 있어 수도권과 지역을 연결하는 허브로써, 정부가 투자한 다양한 인프라를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혁신 주체 간 협력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기여하여 보건산업 창업, 기술사업화 활성화와 이를 통한 매출과 고용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K-바이오헬스 전략센터 : 서울시 중구 칠패로 36, 연세봉래빌딩 3층     ※ 문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산업생태계조성팀 피승훈 연구원 ☎ 043-713-8816 2022.08.3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2년 제3회 K-BIC STAR DAY 개최 6월 23일(목) 오후 3시, 온라인 투자유치 기술설명회 “혁신의료기기 관련기술 보유기업 5개社 참여”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은 오는 6월 23일(목) 오후 3시부터「2022년 제3회 K-BIC STAR DAY」온라인 투자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2년 제3회 K-BIC* STAR DAY> 일시 : 6월 23일(목) 오후 3시∼ 방식 : 온라인 투자유치 설명회(유튜브생중계: www.youtube.com/kbicstartup) 주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K-BIC :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Korea - Biohealth Innovation Start-Up Center)    ○ K-BIC STAR DAY는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에서 18년도부터 진행된 보건산업에 특화된 투자설명회로 지금까지 총 132개 창업기업이 참여하였으며, 본 행사를 통하여 기술 소개 및 투자자 등과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졌다.    ○ 이번 기술설명회에는 ▲메디팜소프트‘AI기반의 휴대용 셀프심전도기기’ ▲㈜뉴로소나‘뇌질환 치료목적 집속형 초음파 자극시스템 NS-US Series’ ▲홍성(H&S)‘임플란트’ ▲오큐라이트‘백내장 수술용 조명챠퍼’▲(주)레디큐어‘AI기반 치매전용 저선량 방사선 발생 시스템 및 원격 의료 서비스 ’가 소개된다.  ○ 이들 5개 창업기업은 전문가의 멘토링를 거쳐 투자역량진단, IR피칭 컨설팅 등 투자유치 역량을 강화하여 IR에 참여하며, 발표 후에는 임상의사 등이 전문가 입장에서 보완사항을 제안하여, 기술적인 개선사항과 비즈니스모델에 대해 자문할 계획이다.   □ 본 행사는 온라인 참여 신청만 가능하며,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홈페이지(www.khidi.or.kr/kbic)에서 신청접수가 가능하다.    ○ 진흥원 산업진흥본부 보건산업육성단 이철행 단장은 “K-BIC STAR DAY”를 통하여 혁신 의료기기 기술을 비롯하여 창업기업의 다양한 우수 기술을 소개해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 문의 : 보건산업육성단 기술평가컨설팅팀 강소라 연구원 ☎(043)713-8591, srkang1508@or.kr     ※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홈페이지(http://www.khidi.or.kr/kbic) 2022.06.2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래 혁신 기술을 만나본 바이오코리아 2022 폐막 5월 11일[수]부터 13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서 성황리에 마쳐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과 충청북도(도지사 이시종)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BIO KOREA 2022 - 포스트 코로나와 미래 혁신 기술: Beyond the Pandemic, into A Next Wave」이 지난 13일(금) 최종 마무리 됐다.     ○ 올해로 17회를 맞은 바이오코리아는 지난 5월 11일(수) 오전 10시 30분 개막식을 시작으로 차기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도할 유망 기업과 병원, 정부기관, 연구 기관 등 관련 업계가 바이오헬스 산업의 최신 기술과 제품을 제시한 이번 행사는 3일간 52개국에서 624개사가 참여했다.     ○ 개막식에서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이 참석, 축사를 통해 “정부에서는 바이오헬스 분야 육성을 국정과제로 추진하며, 신약개발 지원, 전문인력 확보와 함께 바이오헬스 거버넌스 강화를 위해 앞장서겠다.”는 의지와 격려를 표했다.   □ 이번 행사는 코로나19의 팬데믹화에 따른 환경 변화 속에서 BIO LIVE ZONE, 체험이 가능한 메타버스 홍보관 등 오프라인 현장 중심의 행사를 운영하였다.     ○ 컨퍼런스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등 치료제 기술부터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K-백신 자급화 전략, 인공지능(AI) 등 바이오헬스 산업의 핵심 주제에 대한 21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150여명의 연사들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 비즈니스 포럼에서는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하면서 참가자 간의 비즈니스 교류 기회를 확대했다. 특히, 파트너링은 사노피, 다케다제약, 릴리 등 주요 국내・외 기업들이 관심을 보이며 440명이 참여하며 730건의 미팅이 진행되었다.     ○ 전시에서는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 싸토리우스 코리아 바이오텍, 에이비엘바이오(주) 등 11개국 305개 기업이 현장에서 홍보부스를 운영했으며, AR, VR 등 보건의료와 결합한 4차 산업혁명 특화 ▲ 메타버스 홍보관, 호주, 캐나다 등 해외의 우수 바이오 기업과 기술을 만날 수 있는 ▲ National Pavilion(국가관)도 선보였다. 또한, 기업의 비즈니스·기술을 소개하는 BIO LIVE도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어 참여기업의 홍보 활동을 지원 했다.     ○ 마지막으로 인베스트페어에서는 메타버스와 바이오헬스 대응전략, mRNA 플랫폼 및 백신 CMO 등 21개 기업이 참여하여 투자자들에게 최근 트렌드 및 기업의 경영전략과 비전을 소개했다.   □ 진흥원 권순만 원장은 “앞으로도 바이오코리아가 국내 최대 규모의 기술거래시장으로 자리매김 하고 바이오헬스산업이 대한민국 미래 성장 동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또한 컨퍼런스를 다시 시청 하고자 하는 기업은 바이오코리아 홈페이지(www.biokorea.org)에서 FCA, 3-CA 등록자에 한해 VOD 다시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기간은 5월 17일(화) ~ 23일(월)까지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바이오코리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문의 : 진흥원 산업진흥기획팀 문소설 연구원 ☎ (02)2095-1734 ※ VOD(컨퍼런스) 다시보기 : 바이오코리아 홈페이지(www.biokorea.org) 2022.05.17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미래 혁신기술 탐색의 기회 바이오코리아 2022 (BIO KOREA 2022) 5월 11일(수) 개막 5월 11일[수]부터 13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서 개최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과 충청북도(지사 이시종, 이하 충북도)가 공동 개최하고 보건복지부가 후원하는 바이오코리아 2022(BIO KOREA 2022)가 5월 11일(수)부터 13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發 위기에도 불구하고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은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미래형 신산업 육성을 통해 새로운 미래 먹거리 탐색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차세대 혁신 연구기술 등 코로나19 이후 새롭게 발생 할 수 있는 감염병 위기 극복을 위한 혁신 기술들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져 가고 있는 상황이다. ○ 이런 관심을 도약의 기회로 삼아, BIO KOREA 2022에서는 “포스트 코로나와 미래 혁신 기술”을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바이오헬스 산업 기술의 변화와 나아갈 방향들을 살펴본다. 특히 올해 행사에서는 컨퍼런스, 전시, 비즈니스 포럼, 인베스트페어 등 다양한 주요 프로그램들이 오프라인 중심으로 개최된다. BIO KOREA 2022 International Convention 포스트 코로나와 미래 혁신 기술(Beyond the Pandemic, into A Next Wave)   - 일 시: 2022년 5월 11일(수) ~ 13일(금) - 장 소: 서울 COEX, www.biokorea.org - 프로그램: 컨퍼런스, 비즈니스포럼(파트너링, BIO LIVE), 전시, 인베스트페어   □ 컨퍼런스는 첨단치료기술, 디지털헬스, 기술비즈니스 등 14개 주제 21개 세션을 통해 7개국 150여 명의 바이오헬스분야 전문가가 참여하여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최신 산업 및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 특히,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수행하는 사업단*과 연구자가 다수 참여해 면역항암제, 백신, 재생의료, 마이크로바이옴, 알츠하이머 등 첨단치료기술 개발과 사업화 현황을 공유한다. * 항암신약신치료개발사업단,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글로벌 백신선도사업단,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등   ○ 동시에 코로나19 이후 바이오헬스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소개하고, 정밀의료 도입을 위한 바이오헬스 데이터 활용과 인공지능 기술의 의료분야 적용, 디지털 치료제 시장진출을 위한 전략을 살핀다.   □ 바이오헬스 분야 기업들의 활발한 기술·비즈니스 교류의 장인 비즈니스 포럼은 국내·외 기업 및 해외 대사관 등이 대거 참여하여 기술이전, 투자유치 등 비즈니스 성과 창출을 위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비즈니스 파트너링에서는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머크(Merck), 베링거인겔하임(Boehninger lngelheim) 등 글로벌 기업과, 종근당, 한미정밀화학, 동국제약 등 국내기업들도 참여하여 활발한 비즈니스의 장이 개최될 예정이고 해외에 위치한 기업들과도 원할한 미팅이 가능하도록 온라인 미팅을 24시간 운영한다.   ○ 아울러 BIO LIVE는 론자(Lonza), SCM생명과학, 고큐바 테크놀로지 등 마케팅 및 판로개척에 관심있는 국내·외 기업이 참여하여 비즈니스 모델, 기술을 소개하고, 동시에 해외 대사관 및 투자청(호주, 캐나다, 이스라엘, 터키, 아부다비)에서 참여하여 자체 선별한 유망 기업 및 해당국가 진출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또한 해외 대사관 및 투자청은 전시 및 파트너링에도 참여하여 해외진출을 모색하는 국내기업에게 좋은 교류·협력의 기회가 될 것이다.   □ 전시에서는 메타버스 홍보관, 국가관 등 각 주제별 특별 전시관을 운영하여 참관객들에게 AI(Artificial Intelligence),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등 보건의료와 결합한 4차 산업혁명과, 해외 국가의 우수 바이오 기업과 기술을 만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 한다.   ○ 메타버스 홍보관은 AI, VR 기술을 활용한 가상 수술실, 진단, 치료, 안전 교육 등의 시뮬레이션 체험이 가능하며 뉴베이스, 인그래디언트, 룩시드랩스, 테트라시그넘, 테크빌리지, 엠투에스 총 6개의 기업이 참여한다.   ○“제약바이오기술 홍보관”, “체외진단 의료기기기업 홍보관”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개발된 국내 주요 백신, 진단키트 분야 기업들의 연구개발 기술, 원부자재, 제품을 홍보하며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SD바이이오센서, 지노믹트리 등 국내 제약 ·의료기기 기업이 참여 한다. □ 인베스트 페어는 혁신 신약 및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헬스케어 기업들이 자사의 우수한 기술력을 소개하고,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경영 전략과 비전을 소개하는 자리로 진행된다. ○ 동향발표 및 토론은 “메타버스와 바이오헬스 대응전략”, “mRNA 플랫폼 및 백신 CMO”, “신약개발 플랫폼 라이선스 아웃 전략”,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동향 및 라이선스 아웃 전략” 등 다양한 주제로 진행되며,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카카오 헬스케어, 에이비엘바이오, 티움바이오, 입셀, 큐라티스 등 21개 기업들이 투자설명회에 참가한다.   □ 진흥원 권순만 원장은 “지난 17년간 대한민국 바이오헬스 산업과 함께 성장 해 온 바이오코리아 행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응하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으며, 향후 바이오헬스 분야의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공유되는 혁신 기술 거래의 장이 마련되어, 국민 건강과 국가경제의 한 단계 높은 도약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 바이오코리아 2022에서는 이 외에도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들이 진행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바이오코리아 2022 홈페이지(www.biokorea.org)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행사 관련, 사전등록을 하지 못한 참가 희망자들은 행사 기간 동안 코엑스 행사장 현장등록대에서 현장 등록을 할 수 있다.   ※ 문의 : 진흥원 산업진흥기획팀 책임기술원 김대현 ☎ 02-2095-1731     2022.05.10
보건신기술(NET), 바이오코리아 2022에서 만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코리아 2022에서 33개 보건산업분야 신기술 홍보   □ 보건산업 분야에서 우수성이 인증된 보건신기술(NET)에 대한 정보를 바이오코리아 2022 행사장에서 만날 수 있다. ※ 보건신기술(NET: New Excellent Technology): 국내 최초 개발된 보건 분야 신기술을 조기 발굴하고 우수성을 인증하여 기술의 제품화ㆍ상업화, 기술거래 촉진 및 초기 시장진출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보건의료기술 진흥법에 의해 실시되는 인증제도.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은 오는 5월 11일(수)부터 5월 13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바이오코리아 2022 (BIO KOREA 2022)」에서 보건신기술(NET) 인증 홍보관을 통해 우수 기술을 전시ㆍ홍보한다고 밝혔다. ○ 보건신기술(NET) 인증 홍보관에서는 총 33개 사의 보건신기술(NET)이 소개되며, 이 중 8개 기업은 개별적으로도 참가하여 보건신기술(NET) 이외 자사제품 등을 전시 및 홍보할 예정이다.   ○ ▲ ㈜빅바이오의 ‘특이적 바이오마커(MARS1)항체를 활용한 암 진단 기술 및 조직(세포)용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조 기술’ ▲ ㈜진우바이오의 ‘고형화 히알루론산 제조기술’ ▲ ㈜엠디뮨의 ‘세포유래베지클(CDV)의 제조방법’ ▲ ㈜베르티스의 ‘유방암에 특이적인 3종 혈장 단백질 수치의 알고리즘 계산을 통해 유방암을 선별하는 기술’ ▲ ㈜라메디텍의 ‘바늘없는 레이저 채혈기’ ▲ ㈜이노본의 ‘골세포 활착 유도형 생분해 제어 골이식재 제조기술’ ▲ 유한회사 웰씨의 ‘각막 변형의 교정을 돕는 안과영상치료계획 소프트웨어’ ▲ ㈜이와이어라이너의 ‘환자 맞춤형 코팅 와이어 교정장치’ 등 유망 신기술 및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 진흥원 보건산업육성단 이철행 단장은 “보건산업의 대표적인 교류의 장인 바이오코리아 2022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된 우수한 보건신기술(NET)을 전세계 바이오 관계자들에게 소개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신기술 적용제품의 국내·외 실사용자인 의료기관, 의사 및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문의 : 진흥원 보건산업육성단 이강호 연구원 ☎ (043) 713 - 8596   2022.05.0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인베스트 페어 2022 개최 보건산업 분야 유망기업 투자 설명회 11일(수)부터 13일(금)까지 열려 바이오헬스 분야 유망기업의 개발 전략 및 해외진출 전략 발표 (알려 드립니다) 바이오코리아 2022(BIO KOREA 2022)이 서울 코엑스(5월 11일(수)∼13일(금))와 바이오코리아 홈페이지(5월 11일(수)∼13일(금))에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개최됩니다. 이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미디어의 관심을 반영하여, 취재에 도움이 되고자 컨퍼런스의 주요 세션들과 주요 포럼, 홍보관 운영 등에 대한 세부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하여 차례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보도자료는 바이오코리아 2022 인베스트 페어(INVEST FAIR)에 관한 부분입니다.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은 ‘바이오코리아 2022’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인 ‘인베스트 페어 2022’를 바이오코리아 기간인 5월 11일(수)부터 13일(금)까지 코엑스 318호 컨퍼런스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바이오코리아 인베스트페어 2022’는 ‘메타버스와 바이오 헬스 대응과 전략’, ``mRNA, 백신 플랫폼 및 CMO’ 주제발표를 비롯하여 ‘신약개발 플랫폼 라이선스 아웃 전략’,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동향 및 라이선스 아웃 전략’의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총 21개 기업이 참여하여 각 주제별 발표와 토론, 기업설명회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첫째날 11일(수)에는 ‘메타버스와 바이오헬스 대응 전략’ 주제로, [세션 1] 한림대의료원 메타버스 TFT와 [세션 2] 연세의료원 디지털헬스실의 주제발표 및 토론을 시작으로, 관련 기업인 뉴베이스, 엠투에스, 휴이노, 카카오헬스케어, 엘앤로보틱스, 휴니버스글로벌, 테트라시그넘의 기술개발 내용을 소개한다. ○ 이튿날인 12일(목)에는 ‘mRNA 플랫폼 및 백신 CMO’의 세션으로 엔지켐생명과학의 주제발표와 토론에 이어, 아이진, 유바이오로직스, 지에이치팜의 기업 소개도 예정되어 있다.   ○ 마지막 날인 13일(금)에는 ‘신약개발 플랫폼 라이선스 아웃전략’과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동향 및 라이선스 아웃전략’ 세션이 이어진다. GC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지놈앤컴퍼니의 주제발표 토론에 이어 경쟁력 있는 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들의 사업화 전략을 접할 수 있는 기회이다. ○ 또한, 특별 세션으로 12일(목)에는 한국벤처투자 모태펀드 설명회가 준비되어, 창업기업에 대한 정책적 투자 지원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탈 간의 투자유치 비즈니스 미팅이 둘째날부터 이틀 간 진행될 예정이다.     ○ ‘인베스트 페어 2022’ 참가는 무료이며, 참가신청은 바이오코리아 홈페이지(www.biokorea.org)에서 가능하다. 또한, ‘인베스트 페어 2022’은 홈페이지(www.biokoreainvest.or.kr)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고, 23일(월)까지 다시보기가 제공될 예정이다.   □ 진흥원 보건산업육성단 이철행 단장은 “이번 행사는 최근 의료계에서도 뜨거운 화두로 떠오른 메타버스와 관련 기업은 물론 바이오헬스 분야의 유망한 제약·바이오, 의료기기 등 기업의 우수한 기술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진흥원은 앞으로도 기업 투자유치 지원을 지속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문의: 진흥원 기술평가컨설팅팀 강소라 연구원 ☎(043)713-8591 2022.05.04
더보기

창업기업 홍보관

센터 창업기업 목록
닫기

학력사항

기간,학교명,전공
기간 학교명 전공

경력사항

기간,근무처,부서(직위),담당업무
기간 근무처 부서(직위) 담당업무

전문분야 전문성

전문분야 전문성 관련 특징 및 장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