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업소개
기관소개
고큐바테크놀로지(주)
인공지능 기반 남성 난임 예측 및 진단 의료솔루션 개발#의사결정AI #정자운동패턴분석 #남성난임AI #난임분석AI
분야 | 바이오·의료, 정보·통신(SW)
회사 현황
설립일자 | 2017.08.01.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64 |
임직원 수 | 9명 |
투자 유치이력(백만원)
투자시기 | 2017.12 | 2020.09 | 2022.05 |
투자자 | 인포뱅크 Pre-Seed 투자 |
대학엔젤매칭펀드 Pre-Seed 투자 |
BNK벤처투자(주) 외 1개사 Seed Angel 투자 |
투자금액 | 20 | 30 | 1,000 |
임원 소개
진훈 박사, CTO | 경기대 전산학과 박사 졸업, 前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명지원 팀장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공과대학 석사 졸업 |
주요 현황(백만원)
자본금 | 차입금 | 2022매출 | 2023매출 | 2024예상매출 |
865 | 700 | 777 | 764 | 900 |
회사 소개
회사 소개 및 향후 비전
고큐바테크놀로지(주)는 다양하고 복잡한 난임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기 위해 2017년 설립됐다. 정자운동 패턴 분석을 통해 남성난임의 원인을 예측하고 진단을 지원이 가능한 AI 솔루션 ‘ASMIT’을 개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난임을 예측하고 자연어처리(NLP)와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기술로 의료 기록과 진단서를 자동으로 분석해 난임시술을 추천한다.
현재도 난임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 진행 중이며 최종적으로 AI를 통해 난임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개인 맞춤형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혁신적인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한다.
수상경력
- 2021 글로벌 IR 최우수상 수상(경기경제과학진흥원(GBSA))
- 2019 헬스케어 이노베이션컵 파이널리스트(두바이 GITEX 아부다비 정부)
- 2018 무역장관상 수상(KOTRA 마드리드)
정부지원사업 참여이력
- 2024.05 AI 정자 판독 솔루션으로 가임기 남성대상 경기도민 A.I 실증 사업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2023.04 AI 기반의 남성난임 진단 서비스 고도화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2022.07 건강한 미래를 결정하는 소아 의료 난제 극복 디지털 의료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보건산업진흥원)
- 2022.04 어지럼증 재활 치료를 위한 복합현실(XR) 디지털 치료제(DTx) 개발 (창업진흥원)
- 2021.06 비전센싱 AI를 통한 고령자 뇌기능 저하 모니터링 솔루션 개발을 위한 R&D 기획 지원 및 기업 컨설팅 (성남산업진흥원)
서비스/제품 소개
정자운동 패턴 분석을 통한 원인불명 남성난임 예측 및 진단 지원 AI 솔루션 ‘ASMIT’
원본 비디오 영상에 추적 기술을 적용해 정자의 운동 특성 분석 (이동거리 및 속도 측정)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WHO6 기준에 따른 남성불임 정도 평가
1. 데이터 전처리
- YOLO 모델 기반 학습 데이터 전처리
- Image Generator 활용한 이미지 화질 개선(확대, 축소) 및 회전, 반전
- HSV Color Space를 활용해 정자 이미지 부각
- Detection 후 영상이 끊기는 현상 감소를 위한 Deep Sort 기술 활용
- Image Generator 활용한 이미지 화질 개선(확대, 축소) 및 회전, 반전
- HSV Color Space를 활용해 정자 이미지 부각
- Detection 후 영상이 끊기는 현상 감소를 위한 Deep Sort 기술 활용
2. 정자운동 패턴 분석
- 정자 Detection, Tracking 및 Classification 후 최신 ResNet 알고리즘을 이용해 운동성 패턴 분류
- 다중 샘플 간의 정자 세포 탐지와 궤적 추적 성능 비교
- 운동 패턴별 활동 정자 수, 평균 속도・이동 거리 산출
- 다중 샘플 간의 정자 세포 탐지와 궤적 추적 성능 비교
- 운동 패턴별 활동 정자 수, 평균 속도・이동 거리 산출
3. 난임 가능성 예측
- Decision Tree 기반의 XG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해 남성난임 환자의 난임 가능성 예측
- 분산성 분석, 상관 분석, 다중회귀 분석 등의 통계 기법을 활용해 남성난임 가능성 예측
- 분산성 분석, 상관 분석, 다중회귀 분석 등의 통계 기법을 활용해 남성난임 가능성 예측
타 기술과의 차별점
정자 육안 검사의 한계 극복을 위해 CASA(Computer Assisted Semen Analyzer)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2~4억 원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보급・확산이 어렵다. 반면 ASMIT은 보편성으로 기존 CASA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는 동시에 높은 기술력까지 겸비한다.
- CASA는 기본 정자 정보만 제공하지만 ASMIT은 정자운동 패턴 및 난임 가능성을 예측해 정보 제공
- CASA 사용이 어려운 일반 병의원에서 ASMIT을 활용해 정액 검사 대체
- ASMIT의 커스텀 UX/UI를 통해 다양한 형태(그래프, 통계 분석표)의 결과 리포트 확인 가능
- CASA는 기본 정자 정보만 제공하지만 ASMIT은 정자운동 패턴 및 난임 가능성을 예측해 정보 제공
- CASA 사용이 어려운 일반 병의원에서 ASMIT을 활용해 정액 검사 대체
- ASMIT의 커스텀 UX/UI를 통해 다양한 형태(그래프, 통계 분석표)의 결과 리포트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