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업소개
휴마니타스(주)
- 대표자이명신
- 주소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현풍로 47길 86-2 1층 102호
- 전화번호1566-93-26
기관소개
휴마니타스(주)
클라우드 활용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 ‘디컴(DICOM)’개발 및 운영 총괄#디컴 #의료영상 #PACS #전자건강기록
분야 | 바이오·의료
회사 현황
설립일자 | 2018.09.01.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현풍로 47길 86-2 1층 102호 |
임직원 수 | 16명 |
투자 유치이력(백만원)
투자시기 | 2021.05. | 2021.07 | 2022.05 | 2022.06. | 2024.03. |
투자자 | 킹슬리벤처스 | 타이탄벤처스 | 케어랩스 | 클럽딜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투자금액 | 200 | 167 | 1,999 | 535 | 1,000 |
임원 소개
이명신 CEO | - 前 (주)글로벌금융판매 상무 - 前 에이치메디 플래닛 전략사업 본부장 |
주요 현황(백만원)
2022매출 | 2023매출 | 2024예상매출 |
12 | 323 | 500 |
회사 소개
회사 소개 및 향후 비전
휴마니타스는 2018년 설립된 의료 빅데이터 전문 솔루션 스타트업이다. 병원 이원시 CD/DVD 매체에 의료 데이터를 담아 전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클라우드를 활용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의료 빅데이터 서비스 ‘디컴(DICOM)’을 개발했다. 이는 PBS, 웹디컴, 키오스크를 활용해 이동 매체 없이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이원가능케 해 기존 CD/DVD 활용시 발생하는 데이터 손상이나 판독불가 케이스를 줄이고 제작에 드는 비용을 감소킨다.
효율성과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모두 지닌 서비스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정보 교류에 따른 수수료로 지속적이고 탄탄한 매출이 기대된다.
특허 및 인증
- [특허등록] 제증명서류 원본 확인 시스템 특허 등록
- [특허등록] 의료용 이미지 내의 문자정보 비 식별 처리장치
- [특허등록] 의료영상의 분할저장 제공시스템
- [특허등록] 전자산모수첩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 [특허출원]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
수상경력
- 2021.12 전자/IT 우수특허대상
- 2020.11 브랜드1위 IT/클라우드 대상
- 2020.10 디지털이노베이션 IT/클라우드 대상
- 2020.02 성공! K-Startup 2019/우수상
서비스/제품 소개
의료영상 분할・병합 기술 활용 의료 데이터 전송 시스템 ‘디컴(DICOM)’
병원에서 전송되어 온 의료영상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환자 요청 시 수신 병원으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클라우드・플랫폼 서비스
CD/DVD 매체 활용 시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브랜드 별 데이터 압축률 상이로 정보 불량률이 15%였지만 DICOM 표준 포맷은 모든 PACS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해 정보 불량과 이로 인한 재촬영 빈도를 획기적으로 줄인다.
의료영상 분할저장 및 제공시스템, 의료용 이미지 내의 문자정보 비 식별 처리장치, 제증명서류 원본 확인 시스템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을 모두 준수해 개발되어 효율성과 안전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현재 국내 Big4 병원을 비롯해 전국의료원연합회의 협조로 전국 거점의 많은 병(의)원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전북 지역 전체 중증진료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의료영상 분할저장 및 제공시스템, 의료용 이미지 내의 문자정보 비 식별 처리장치, 제증명서류 원본 확인 시스템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을 모두 준수해 개발되어 효율성과 안전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현재 국내 Big4 병원을 비롯해 전국의료원연합회의 협조로 전국 거점의 많은 병(의)원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전북 지역 전체 중증진료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타 기술과의 차별점
유사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보건복지부의 '마이차트'는 의료기관 환경에 따라 500MB 이상 파일 전송 시 제약이 발생하는 용량 제한 문제와 기존 설치된 PACS/EMR 등과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반해 '디컴(DICOM)'은 용량 제약과 호환성 문제를 동시에 보완해 보다 안정적인 데이터 교류 환경을 제공한다. 1·2·3차 의료기관 간 상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특징도 있다.
또한 의료영상 정보를 조각해 저장하므로 만일 해킹에 의해 탈취되더라도 영상을 병합하는 인덱스 정보는 유출의 위험이 없어 보안에도 탁월하다.
비즈니스 모델 및 로드맵
주요 매출원
전국 병원의 ‘디컴(DICOM)’ 시스템 사용 수수료 및 각 요양(병)원의 구독료
2024년 주요 이슈
1. 2024년 06월 교육부를 통한 전국 응급실 네트워크에 디컴 및 디컴119 시스템 설치를 위한 지원금 협의 중
2. 2024년 07월 소방청과 응급환자 이송에 관한 MOU 예정
3. 2024년 07월 전국 20,000여 개 요양(병)원에 디컴119 식립 예정
2. 2024년 07월 소방청과 응급환자 이송에 관한 MOU 예정
3. 2024년 07월 전국 20,000여 개 요양(병)원에 디컴119 식립 예정